본문 바로가기
역사/근현대사

[역사] 항일의병(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내용 정리

by 불빛_ 2020. 7. 9.
반응형


항일의병(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내용 정리


◈ 을미의병(1895)

 ▷ 항일 의병 전쟁의 시작

 ▷ 원인

  1. 을미사변(1895, 명성황후 시해 사건)

  2. 단발령 → 유생들의 반발

 ▷ 특징

  1. 유인석, 이소응 등의 유생들이 의병 운동을 주도

  2. 동학 농민군의 잔여 세력이 가담

  3. 친일 관리를 처단

  4. 일본군의 군용 시설과 주둔지 등을 공격

 ▷ 해산

  1. 아관파천(1896)으로 친러 정권 등장

  2. 단발령 철회

  3. 고종의 해산 권고 조칙으로 대부분 자진 해산

 ▷ 해산 후 일부는 활빈당을 조직하여 반봉건 반침략 운동 전개


◈ 을사의병(1905)

 ▷ 원인

  1. 일본이 한일의정서를 강요하며 내정 간섭 강화

  2. 을사늑약(1905)으로 외교권을 빼앗김

  3. 서울에 통감부를 설치하며 조선 침략 본격화

 ▷ 특징

  1. 안병찬, 민종식, 최익현 등이 활약

  2. 신돌석과 같은 평민 의병장이 두각을 보임

  3. 전국적으로 항일 투쟁 전개

  4. 최익현은 일본군이 아닌 관군과는 싸울 수 없다며 회피하다가 포로가 되어 대마도로 끌려감




◈ 정미의병(1907)

 ▷ 원인

  1. 고종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헤이그에 특사(1907)를 파견

  2. 헤이그 특사를 빌미로 일본은 고종을 강제 퇴위 시킴

  3. 한일신협약(1907)을 체결하고 군대를 해산

  4. 시위대 참령 박승환이 군대 해산에 분개하며 자결

 ▷ 특징

  1.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참여하여 화력이 증가

  2. 유생 이외에도 평민, 천민 의병장의 대거 등장과 농민, 노동자 등 전 계층이 참여

  3. 각국의 영사관에 국제법상 교전단체로 승인해 줄 것을 요청

  4. 이인영을 중심으로 13도 창의군 결성

  5.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여 동대문 밖 30리 지점까지 이르렀으나 실패

  6. 총사령관 이인영이 부친상으로 고향으로 돌아가며 무산


◈ 정미의병 이후

 ▷ 지역별로 독자적인 의병 활동

 ▷ 전해산, 심남일, 안규홍 등이 호남 의병 활동을 주도

 ▷ 일본군의 전라도 의병을 진압하기 위한 남한 대토벌 작전(1909)으로 위축

 ▷ 많은 의병들이 간도와 연해주로 옮겨가 독립군으로 발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