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어/고사성어55

[고사성어] 일망타진(一網打盡)의미 뜻과 유래 일망타진(一網打盡)의미 뜻과 유래 一 : 한 일 網 : 그물 망 打 : 칠 타 盡 : 다할 진 [일망타진 뜻] 한 번 그물을 쳐서 고기를 다 잡는다는 뜻으로,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을 이르는 말. [일망타진 유래] 일망타진은 송나라 인종과 왕공진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송나라 인종은 내적으로 많은 업적을 남긴 대표적인 임금입니다. 당시 조정에는 한기, 범중엄, 구양수, 사마광, 장재, 정호 등 뛰어난 인재들이 많았습니다. 반면 인재가 많다 보니 서로 잦은 충돌을 일으켰고, 이들은 당파를 이루어 서로 싸우게 됩니다. 이 가운데 두연이라는 사람이 재상으로 있을 때의 일입니다. 당시 임금은 조서를 내릴 때 신하들과 협의 없이 자기 뜻대로 하는 관습이 있었습니다. 두연은 황제라 하더라도 주요.. 2024. 3. 20.
[고사성어] 원앙지계(鴛鴦之契)의미 뜻과 유래 원앙지계(鴛鴦之契)의미 뜻과 유래 鴛 : 원앙 원 鴦 : 원앙 앙 之 : 갈 지 契 : 맺을 계 [원앙지계 뜻] 원앙의 암수가 만나 관계를 맺는다는 뜻으로 금슬 좋은 부부 사이를 의미합니다. '원앙은 서로 금슬이 좋다 하여 예로부터 부부의 상징인 새로 불렸습니다.' [원앙지계 유래] 원앙지계는 전국시대 한빙부부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마을을 시찰하던 강왕은 아름다운 여인을 보았습니다. "저 아름다운 여인은 누구인가?" "한빙의 아내 하씨입니다." 하씨의 아름다운 미모에 빠진 강왕은 한빙에게서 아내를 강제로 빼앗았습니다. 아내를 빼앗긴 한빙이 강왕을 비난하고 다니자 강왕은 한빙을 옥에 가둬버렸고 얼마 후 한빙은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됩니다. 어느 날 강왕은 하씨가 쓴 글을 손에 넣게 됩니다. '비가 많.. 2023. 8. 16.
[고사성어] 구우일모(九牛一毛)의미 뜻과 유래 구우일모(九牛一毛)의미 뜻과 유래 九 : 아홉 구牛 : 소 우一 : 한 일毛 : 털 모 [구우일모 뜻]아홉 마리의 소 중에서 뽑은 한 개의 털이라는 뜻으로극히 적은 것, 아무것도 아닌 대단히 하찮은 것을 의미합니다. [구우일모 유래]구우일모는 역사서 '사기'를 집필한 사마천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한나라의 가장 큰 걱정 중에 하나는 흉노족의 침입을 막는 것이었습니다.그래서 흉노족을 정벌하기 위해 군사를 자주 일으키고는 했습니다. 한번은 이릉이 군사를 이끌고 흉노족을 정벌하러 갔습니다.이릉은 자신의 군사보다 더 많은 흉노족을 맞아 대등하게 싸웠지만 결국 패했고죽음을 택하기보다는 훗날에 복수를 생각하며 항복하게 되었습니다.그러자 흉노의 왕은 이릉의 능력을 높이 사 후하게 대접했습니다. 이릉이 항복한 것도.. 2020. 8. 10.
[고사성어] 상전벽해(桑田碧海)의미 뜻과 유래 상전벽해(桑田碧海)의미 뜻과 유래 桑 : 뽕나무 상田 : 밭 전碧 : 푸를 벽海 : 바다 해 [상전벽해 뜻]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로 바뀐다는 뜻으로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변한 것을 의미합니다. [상전벽해 유래]상전벽해는 신선전의 마고 선녀 이야기에서 언급됩니다.선녀 마고가 신선인 왕방평에게 말했습니다."제가 신선님을 모신 이래로 뽕나무 밭이 세 번이나 푸른 바다로 바뀌는 것을 보았습니다.이번에 봉래에 갔다가 본 바다는 다시 얕아져 이전의 반 정도로 줄어 있었습니다.다시 육지로 바뀌려는 것일까요?" 또한 당나라 시인 유정지의 시에서도 언급됩니다.'낙양성 동쪽의 복숭아 오얏꽃은 날아오고 날아가며 어느 집에 지는고낙양의 곱디고운 소녀는 제 얼굴이 스스로 아까운지꽃이 지는 걸 바라보며 탄식하는구나올해의 꽃이 지고.. 2020. 7. 15.
[고사성어] 계명구도(鷄鳴狗盜)의미 뜻과 유래 계명구도(鷄鳴狗盜)의미 뜻과 유래 鷄 : 닭 계鳴 : 울 명狗 : 개 구盜 : 훔칠 도 [계명구도 뜻]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고 개를 흉내 내 훔친다는 뜻으로동물의 흉내나 내는 하찮은 능력이라도 어딘가 쓸모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계명구도 유래]계명구도는 전국시대 맹상군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제나라의 맹상군은 인재의 필요성을 느끼고 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입니다.뛰어난 능력이 아니더라도 재주가 한 가지라도 있으면 식객으로 받아들였는데 그 수가 3,000명이나 되었습니다. 이런 소문을 들은 진나라 소왕은 맹상군을 재상으로 임명하기 위해 그를 초빙했고맹상군은 십여 명의 식객들을 데리고 진나라로 향했습니다.그러나 진나라 소왕의 신하들은 맹상군이 제나라 사람이라는 이유로 재상 임명을 반대했습니다... 2020. 6. 29.
[고사성어] 백년하청(百年河淸)의미 뜻과 유래 백년하청(百年河淸)의미 뜻과 유래 百 : 일백 백年 : 해 년河 : 물 하淸 : 맑을 청 [백년하청 뜻]황하강은 늘 흐려서 100년이 지나도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으로아무리 시간을 두고 기다린다 해도 아무 소용이 없으며 실현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백년하청 유래]백년하청은 춘추시대 정나라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정나라는 힘이 약해 진나라와 초나라 등의 강대국 사이에서 눈치를 보며 나라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그러다 정나라가 초나라의 속국인 채나라를 건드리는 일이 있었는데초나라는 이 사건이 자신들에게 도전하는 것이라고 하며 정나라를 공격해왔습니다. 정나라는 급히 대책 회의를 열었지만 의견은 둘로 갈라져서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우리는 작은 나라이며 지금까지 진나라를 섬겨왔습니다.진나라와 동맹을 유지하.. 2020. 6. 1.
[고사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의미 뜻과 유래 형설지공(螢雪之功)의미 뜻과 유래 螢 : 반딧불이 형雪 : 눈 설之 : 갈 지功 : 공 공 [형설지공 뜻]반딧불과 눈빛으로 공을 이루었다는 뜻으로고생 속에서도 열심히 노력을 해서 성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형설지공 유래]형설지공은 진나라의 차윤과 손강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차윤은 어릴 적부터 글을 읽는 것을 좋아하여 밤낮으로 책을 읽었습니다.그러나 차윤의 집은 가난했기 때문에 등불을 마음껏 켤 수가 없어 밤만 되면 책을 읽는 것이 힘들었습니다.밤에도 책을 읽고 싶었던 차윤은 고민하던 중 좋은 방법이 떠올라 들판으로 나갔습니다.들판에는 반딧불이가 반짝이며 날아다니고 있었습니다.차윤은 반딧불이를 잡아 주머니에 넣어 집으로 돌아온 후에 주머니를 매달았습니다.그러자 주머니에서 빛이 났고 차윤은 좋아하는 책.. 2020. 5. 16.
[고사성어] 비육지탄(髀肉之嘆)의미 뜻과 유래 비육지탄(髀肉之嘆)의미 뜻과 유래 髀 : 넓적다리 비肉 : 고기 육之 : 어조사 지嘆 : 탄식할 탄 [비육지탄 뜻]말을 오랫동안 타지 않아서 넓적다리의 살이 오른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자신의 능력이나 뜻을 펼치지 못하고 헛되이 세월만 보내는 모습에 사용합니다. [비육지탄 유래]비육지탄은 삼국지 유비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유비는 조조와 협력하여 여포를 격파하고 좌장군에 임명되었습니다.그러나 유비는 무너진 한나라를 다시 세우려는 뜻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한나라 황실을 장악하고 있는 조조의 밑에 있기 싫었고여러 사람들과 조조를 암살하려던 계획이 들통나자 도망쳐 나오게 되었습니다.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던 유비는 형주에서 유표의 도움으로 정착할 수 있었습니다.같은 한나라 종친인 유표는 유비에게 신야성을 내주.. 2020. 5. 3.
[고사성어] 마부작침(摩斧作針)의미 뜻과 유래 마부작침(摩斧作針)의미 뜻과 유래 摩 : 갈 마斧 : 도끼 부作 : 지을 작針 : 바늘 침 [마부작침 뜻]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계속해서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말입니다. [마부작침 유래]마부작침은 당나라의 시선이라고 불렸던 이백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이백은 아버지를 따라 촉 땅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떠돌아다니기를 좋아했습니다.그러던 중 훌륭한 스승을 찾아 상의산에 들어가 학문에 정진을 하게 되었습니다.학문을 위해 산에 들어가긴 했지만 따분한 산 생활에 싫증이 나자 산을 내려가기로 했습니다. 이백이 산에서 내려와 냇가에 이르렀을 때 한 노파가 바위에다 도끼를 갈고 있었습니다.호기심이 생긴 이백은 그냥 지나치지 않고 노파에게 물어보았습니다."뭘 그렇게 열심히 하.. 2020. 4. 17.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의미 뜻과 유래 백아절현(伯牙絶絃)의미 뜻과 유래 伯 : 맏 백牙 : 어금니 아絶 : 끊을 절絃 : 줄 현 [백아절현 뜻]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절친한 친구의 죽음이나 그 슬픔을 표현할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백아절현 유래]백아절현은 백아와 종자기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중국 춘추시대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타기로 유명한 사람이었습니다.백아에게는 친구인 종자기가 있었는데 그는 음악적인 귀가 발달한 사람으로백아의 거문고 솜씨를 가장 잘 알아주는 사람이었습니다. 백아가 거문고로 높은 산을 묘사한 곡을 연주하면종자기는 "하늘 높이 우뚝 솟은 태산과 같이 웅장하구나."라고 하였고강물이 흐르는 모습을 묘사한 곡을 연주하면"도도하게 흐르는 강물의 흐름이 황하와 같구나."라고 하면서 맞장구를 쳐주었습니다. 어느 날 두 .. 2020. 4. 3.
[고사성어] 만전지책(萬全之策)의미 뜻과 유래 만전지책(萬全之策)의미 뜻과 유래 萬 : 일만 만全 : 온전할 전之 : 의 지策 : 책략 책 [만전지책 뜻]만전을 다하는 책략이라는 뜻으로조금의 허술함도 없이 아주 안전하거나 완전한 계책을 말합니다. [만전지책 유래]만전지책은 중국의 후한 말 유표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당시 가장 큰 힘을 가지고 있던 조조와 원소는 관도에서 맞붙었습니다.이때 조조의 군사는 3만이었고 원소의 군사는 10만이었습니다. 조조는 원소의 명장인 안량과 문추를 죽이면서 일격을 가하기도 했습니다.그러나 원소의 군사가 훨씬 많았기 때문에 쉽게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고원소도 조조군에게 기세가 꺾여 쉽게 공격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원소는 형주의 유표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했습니다.유표는 원소를 돕겠다고 말은 하였지만.. 2020. 3. 24.
[고사성어] 괄목상대(刮目相對)의미 뜻과 유래 괄목상대(刮目相對)의미 뜻과 유래 刮 : 비빌 괄目 : 눈 목相 : 서로 상對 : 대할 대 [괄목상대 뜻]눈을 비비고 상대방을 대한다는 뜻으로상대방의 학문이나 재주 등이 갑자기 눈에 띄게 향상되었음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괄목상대 유래]괄목상대는 중국의 삼국시대 오나라 장수 여몽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여몽은 집안이 워낙 가난해 젊은 시절 글공부를 하지 못했습니다.대신 부지런히 무예를 닦고 많은 공을 세워 장수의 자리까지 올랐습니다. 어느 날 여몽은 손권과의 만남에서 뜻밖의 말을 듣게 되었습니다."여몽 장군, 그대는 앞으로 이 나라에서 큰일을 할 사람이오.그러니 이제부터라도 글을 읽어 학식을 쌓아 두는 것이 좋겠소." 여몽은 손권의 권유를 흘려듣지 않고 그날 이후 글공부를 시작했습니다.그것이 잠깐으.. 2020. 3. 12.
[고사성어] 문경지교(刎頸之交)의미 뜻과 유래 문경지교(刎頸之交)의미 뜻과 유래 刎 : 목 벨 문頸 : 목 경之 : 갈 지交 : 사귈 교 [문경지교 뜻]목이 잘려도 변하지 않는 우정이라는 뜻이며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둘도 없는 친구를 말합니다. [문경지교 유래]문경지교는 전국시대 조나라의 인상여와 염파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어느 날 진나라 왕은 조나라 왕에게 만남을 요청했습니다.조나라 왕은 진나라가 두려워 만나고 싶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요청에 응했습니다.이 자리에서 진나라 왕은 조나라 왕을 굴복시키기 위해 망신을 주며 시비를 걸었습니다.그러나 조나라 왕을 따라간 인상여가 이를 눈치채고 왕을 도와 치욕을 면할 수 있었습니다. 얼마 뒤 인상여는 이때의 공을 인정받아 상경이 되었습니다.그러자 대장군 염파는 인상여가 자기보다 높아진 것에 불만을.. 2020. 3. 1.
[고사성어] 다다익선(多多益善)의미 뜻과 유래 다다익선(多多益善)의미 뜻과 유래 多 : 많을 다多 : 많을 다益 : 더할 익善 : 착할 선 [다다익선 뜻]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는 뜻입니다. [다다익선 유래]다다익선은 한나라 유방과 한신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한신은 진나라 때 사람으로 처음에는 항우의 밑에 있었으나 신분이 미천하여 중용되지 못했고자신의 재능을 알아보지 못하자 결국 항우를 떠나 유방을 찾아갔습니다. 유방 밑에서도 처음에는 인정받지 못하다가 승상 소하의 추천으로 대장군이 되었습니다.한신은 유방의 군사를 이끌고 위, 조, 제 등을 격파하며유방이 중국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그렇게 유방은 중국을 통일했고 한신은 초왕에 봉해졌습니다.하지만 유방은 한신이 항우의 밑에 있던 사람이었고제나라를 공격했을 때는 스스로 제왕에 즉위하.. 2020. 2. 20.
[고사성어] 한단지몽(邯鄲之夢)의미 뜻과 유래 한단지몽(邯鄲之夢)의미 뜻과 유래 邯 : 땅 이름 한鄲 : 나라 이름 단之 : 갈 지夢 : 꿈 몽 [한단지몽 뜻]한단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인간의 삶이 헛되고 덧없음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한단지몽 유래]한단지몽은 당나라 심기제가 쓴 침중기에서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당나라 현종 때 여옹이라는 도사가 있었습니다.여옹은 한단의 한 주막에서 쉬다가 노생이라는 젊은 사람을 만나게 되었습니다.노생은 자신이 아무리 열심히 살아도 가난하여 사는 것이 괴롭다면서 신세한탄을 했습니다.그러면서 자신은 부귀영화를 원한다는 얘기를 나누던 중 졸음이 왔고이를 본 여옹이 베개 하나를 꺼내 주자 노생은 그 베개를 베고 잠이 들었습니다. 노생은 최 씨의 딸과 결혼을 했고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에 올랐으며그 후에도.. 2020. 2. 10.
[고사성어] 점입가경(漸入佳境)의미 뜻과 유래 점입가경(漸入佳境) 뜻과 유래 漸 : 점점 점入 : 들 입佳 : 아름다울 가境 : 지경 경 [점입가경 뜻]시간이 지날수록 아름다운 경치가 나타난다는 뜻으로어떠한 일이나 상황이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뛰어나거나 좋음을 의미합니다. [점입가경 유래]점입가경을 옛날 중국의 고개지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고개지는 그림, 문학, 서예 등에 능해 많은 작품을 남겼습니다.그가 그림을 그리면 소문이 퍼져 많은 사람들이 구경하러 올 정도였습니다. 고개지는 또한 사탕수수를 즐겨 먹었습니다.그런데 그는 항상 사탕수수를 먹을 때마다 단맛이 적은 줄기부터 먹었습니다.이 모습을 본 친구가 궁금해하며 물었습니다."자네는 사탕수수를 먹을 때 왜 단맛이 적은 줄기부터 먹는 것인가?" 그러자 고개지는 태연하게 답했습니다."갈수록 점.. 2020. 1. 31.
[고사성어] 백발백중(百發百中)의미 뜻과 유래 백발백중(百發百中)의미 뜻과 유래 百 : 일백 백發 : 쏠 발百 : 일백 백中 : 가운데 중 [백발백중 뜻]백 번 쏘아 백 번 맞힌다활을 쏘는 실력이 좋아 백 번 중에 백 번을 모두 맞힌다는 뜻으로어떠한 일이나 계획이 실패하지 않고 들어맞음을 말하기도 합니다. [백발백중 유래]춘추 전국시대 진나라 장군 백기는 주변 나라를 격파하였고 주나라까지 공격하려고 하자주나라의 난왕은 소려를 통해 백기 장군을 설득하려고 했습니다.소려를 통해 백기 장군에게 말한 내용은 이렇습니다. 「초나라에 활을 잘 쏘는 양유기 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그는 백보 떨어진 곳에서 활을 쏘아도 백발백중일 정도로 활을 잘 쏘았습니다.모든 사람들이 양유기를 보며 활을 잘 쏜다고 하는데 어떤 한 사람은 다른 소리를 했습니다."쏘기는 잘 쏘는군... 2020. 1. 19.
[고사성어] 소탐대실(小貪大失)의미 뜻과 유래 소탐대실(小貪大失)의미 뜻과 유래 小 : 작을 소貪 : 탐할 탐大 : 큰 대失 : 잃을 실 [소탐대실 뜻]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뜻으로작은 이익에 정신이 팔려 그것을 얻으려다가 오히려 큰 것을 잃게 되는 어리석음을 말합니다. [소탐대실 유래]소탐대실은 전국시대 진나라와 촉나라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진나라 혜왕은 인접해있는 촉나라를 정벌하고 싶었지만촉나라로 가는 길은 가파른 언덕과 험한 산길이어서 공격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촉나라를 손에 넣고 싶은 혜왕은 고민 끝에 촉나라 군주가 욕심이 많다는 것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혜왕은 옥으로 황소를 조각하게 하였고 그 안에 비단과 보석을 채워 넣게 하였습니다.그리고는 이 황소를 촉나라 군주한테 선물할 것이라고 소문을 냈습니다.이 소문을 들은 촉나.. 2020. 1. 7.
[고사성어] 도탄지고(塗炭之苦)의미 뜻과 유래 도탄지고(塗炭之苦)의미 뜻과 유래 塗 : 진흙 도炭 : 숯 탄之 : 갈 지苦 : 괴로울 고 [도탄지고 뜻]진흙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듯한 고통이라는 뜻으로포악한 정치 때문에 백성들이 당하는 어려움과 고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도탄지고 유래]은나라 탕왕은 하나라의 걸왕을 내쫓고 왕이 되었습니다.그러나 탕왕은 자신이 무력으로 혁명을 일으켜 천하를 얻게 된 것을 부끄러워했습니다."후세 사람들이 내가 한 일을 보고 구실을 삼을까 두렵도다." 그러자 탕왕을 보좌하던 중훼라는 사람이 이 모습을 보고 글을 써서 바쳤습니다."하늘이 사람을 낳았으나 그 사람이라는 존재는 욕심이 있기 때문에이를 이끌어 줄 지도자나 군주가 없으면 혼란을 막을 길이 없습니다.그래서 하늘은 총명한 군주를 나오게 해서 이 혼란함을 통치하게 하.. 2019. 12. 24.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의미 뜻과 유래 순망치한(脣亡齒寒)의미 뜻과 유래 脣 : 입술 순亡 : 망할 망齒 : 이 치寒 : 찰 한 [순망치한 뜻]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서로 의지하고 있어 한쪽이 망하면 다른 쪽도 같은 운명을 걷게 된다는 말이며그만큼 가까워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냅니다. [순망치한 유래]춘추시대 진나라 헌공은 영토를 넓혀가고 있었고 이번에는 괵나라를 공격할 계획을 세웁니다.그런데 진나라와 괵나라 사이에는 우나라가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헌공은 우나라 왕에게 진귀한 보물을 실어 보내며 길을 열어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보물에 정신이 팔린 우나라 왕이 헌공의 요청을 수락하려고 하자 신하 궁지기가 반대합니다."우나라는 괵나라와 한 몸이나 다름없습니다. 괵나라가 망하면 우나라도 망합니다.옛말에 입술이 없으면 이가.. 2019. 12. 12.
[고사성어] 파죽지세(破竹之勢)의미 뜻과 유래 파죽지세(破竹之勢)의미 뜻과 유래 破 : 깨뜨릴 파竹 : 대나무 죽之 : 갈 지勢 : 기세 세 [파죽지세 뜻]대나무를 깨뜨릴 기세라는 뜻으로상대방 진영을 향해 거침없이 쳐들어갈 때의 표현으로 쓰이며세력이 강해 감히 대적할 상대가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파죽지세 유래]삼국시대는 끝나고 촉한은 멸망했고 사마염은 진나라를 세웁니다.이제 통일을 위해 남은 것은 동쪽의 오나라뿐이었습니다. 두예는 황제의 허락을 받아 오나라를 치기 위해 군사를 움직였습니다.무창을 점령한 두예는 오나라를 공략할 작전회의를 열었습니다.이때 한 장수가 의견을 냈습니다."곧 강물이 범람할 시기가 오고 장마철에는 전염병이 발생하기 쉬운 때입니다.일단은 후퇴했다가 겨울에 다시 공격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그러자 두예는 딱 잘라 말했습니다.. 2019. 11. 20.
[고사성어] 죽마고우(竹馬故友)의미 뜻과 유래 죽마고우(竹馬故友)의미 뜻과 유래 竹 : 대나무 죽馬 : 말 마故 : 예 고友 : 벗 우 [죽마고우 뜻]죽마를 함께 타고 놀던 어릴 적 친구라는 뜻으로어려서부터 같이 놀며 자란 친한 친구를 이르는 말입니다. [죽마고우 유래]죽마고우는 동진의 환온과 은호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촉나라를 평정하고 돌아온 환온의 세력이 커지고 실권을 장악하자황제는 환온을 견제하기 위해 은호를 등용하여 건무장군에 임명하였습니다.은호는 벼슬에 관심이 없던 인물이었으나 황제의 뜻을 계속 거절하지 못했습니다.환온과 은호는 어릴 적 친구였지만 이때부터 서로 대립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무렵 호족 사이에서 내분이 일어나자 진나라의 땅을 되찾기 위해은호가 군대를 이끌고 출정하였는데 뜻하지 않게 대패를 하고 돌아왔습니다.그러자 환온은 조정.. 2019. 11. 10.
[고사성어] 과하지욕(袴下之辱)의미 뜻과 유래 과하지욕(袴下之辱)의미 뜻과 유래 袴 : 사타구니 과下 : 아래 하之 : 어조사 지辱 : 욕될 욕 [과하지욕 뜻]사타구니 아래로 기어가는 치욕이라는 뜻으로큰 뜻을 위해 사타구니 아래를 기어갈 정도의 치욕도 참는다는 말입니다. [과하지욕 유래]과하지욕은 유방을 도와 한나라를 세운 한신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한신은 어릴 적부터 집이 가난하여 밥을 먹기도 힘들 정도였습니다.그는 남창정 정장의 집에서 살면서 밥을 얻어먹고는 했는데정장의 아내가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자 한신은 정장의 집에서 나와버렸습니다. 이렇게 남에게 빌붙어 살다 보니 한신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었지만 그는 큰 뜻이 있었기 때문에 항상 칼을 차고 다녔습니다. 어느 날, 한신이 고향 회음에서 거리를 거닐고 있었는데칼을 찬 한신이 눈에 거슬렸던 .. 2019. 11. 2.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의미 뜻과 유래 구밀복검(口蜜腹劍)의미 뜻과 유래 口 : 입 구蜜 : 꿀 밀腹 : 배 복劍 : 칼 검 [구밀복검 뜻]입에는 꿀이 들어 있지만 뱃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달콤한 말이지만 속으로는 해칠 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구밀복검 유래]구밀복검은 당나라 재상이었던 이임보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당나라 현종은 초기에 정치를 잘해서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습니다.그러나 점점 술과 여자에 빠지면서 정치를 멀리하였고 특히 양귀비와 사랑에 빠지면서 더욱 심해졌습니다. 이때의 당나라의 재상은 이임보였는데 그는 속이 음흉한 자였습니다.이임보는 현종의 비위만 맞추면서 바른 소리를 하는 신하들을 모두 내쳤으며현명하거나 자신보다 나은 사람,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죽여 버렸습니다.그러자 신하들은 모두 그가 .. 2019. 10. 27.
[고사성어] 화씨지벽(和氏之璧)의미 뜻과 유래 화씨지벽(和氏之璧)의미 뜻과 유래 和 : 화할 화氏 : 성 씨之 : 어조사 지璧 : 둥근옥 벽 [화씨지벽 뜻]화씨의 구슬, 화씨가 발견한 구슬이라는 뜻으로정말 귀하고 소중한 물건을 비유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진귀한 보물이나 사람은 세상에 인정되기 쉽지 않다는 뜻도 있습니다. [화씨지벽 유래]춘추전국시대 초나라에 화씨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그는 옥을 감정하는 사람으로 산에서 옥돌을 발견해 여왕에게 바쳤습니다.여왕은 옥공에게 그 돌을 감정하게 하였고 그냥 평범한 돌로 판정되었습니다.그러자 여왕은 화씨가 자신을 속였다며 왼쪽 발을 잘라버렸습니다. 여왕이 죽고 무왕이 즉위하자 화씨는 다시 옥돌을 왕에게 바쳤습니다.무왕도 옥공에게 돌을 감정하게 하였고 다시 한번 평범한 돌로 판정되었습니다.그러자 무왕 역시 자신을 .. 2019. 10. 19.
[고사성어] 칠종칠금(七縱七擒)의미 뜻과 유래 칠종칠금(七縱七擒)의미 뜻과 유래 七 : 일곱 칠縱 : 놓아줄 종七 : 일곱 칠擒 : 사로잡을 금 [칠종칠금 뜻]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준다는 뜻으로상대방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칠종칠금 유래]칠종칠금은 제갈량과 맹획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삼국시대 촉한의 유비는 제갈량에게 뒤를 맡기고 세상을 떠납니다.제갈량이 유비의 뜻을 받들어 위나라를 칠 준비를 하던 중 남만에서 반란이 일어납니다.제갈량은 위를 공격하기 전에 남만을 정벌하기로 결심하고 군사를 움직입니다. 남만을 이끌던 장수는 맹획이었는데 맹획은 제갈량의 함정에 빠져 사로잡혔습니다.맹획을 생포한 제갈량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 맹획을 풀어줍니다.그 후 맹획은 재정비하여 다시 싸움에 나섰고 이번에.. 2019. 10. 11.
[고사성어] 과유불급(過猶不及)의미 뜻과 유래 과유불급(過猶不及)의미 뜻과 유래 過 : 지나칠 과猶 : 같을 유不 : 아닐 불及 : 미칠 급 [과유불급 뜻]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는 뜻으로과한 것은 부족한 것과 같으니 적당한 것이 좋다는 말입니다. [과유불급 유래]공자에게는 제자들이 있었습니다.그중 한 명인 제자 자공이 공자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스승님, 자장과 자하 두 사람 가운데 누가 더 낫습니까?" 자장과 자하 모두 공자의 제자였는데자장은 적극적인 성격이지만 과시욕이 있었고 자하는 신중하지만 소심한 성격이었습니다."자장은 지나친 면이 있고 자하는 미치지 못하는 면이 있다." 그러자 자공이 다시 물었습니다."그렇다면 자장이 더 낫다는 말씀이군요." 이에 공자는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다."라고 답했습니다.공자는 지나침과 .. 2019. 10. 4.
[고사성어] 수어지교(水魚之交)의미 뜻과 유래 수어지교(水魚之交)의미 뜻과 유래 水 : 물 수魚 : 물고기 어之 : 어조사 지交 : 사귈 교 [수어지교 뜻]물과 물고기 같은 사이, 물을 만난 물고기라는 뜻으로그 관계가 아주 가까워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말합니다.임금과 신하 사이에서 사용했지만 지금은 친구 사이에서도 사용합니다. [수어지교 유래]수어지교는 중국 삼국시대 유비와 제갈공명의 관계에서 유래되었습니다.조조는 강북 땅을 차지했고 손권은 강동에서 세력을 키우고 있었지만유비는 관우와 장비 두 장수가 있을 뿐 지략이 뛰어난 재사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삼고초려하여 제갈량을 얻었고 제갈량은 진심으로 유비를 섬겼습니다."지금 조조와 싸우기는 어렵습니다. 형주와 익주를 얻어 근거지로 삼고손권과 손을 잡아 조조를 견제해야 합니다."유비는 제갈량의 말에 모두.. 2019. 9. 26.
[고사성어] 관포지교(管鮑之交)의미 뜻과 유래 관포지교(管鮑之交)의미 뜻과 유래 管 : 피리 관鮑 : 절인어물 포之 : 어조사 지交 : 사귈 교 [관포지교 뜻]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뜻으로친구사이에 믿음과 의리가 있어서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관포지교 유래]춘추시대 제나라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그들은 젊은 시절부터 둘도 없는 친구 사이였습니다.그러나 둘은 각각 다른 사람을 섬기게 되었는데관중은 제나라 군주 양공의 아들 규를 보좌했고 포숙아는 규의 이복 동생인 소백을 섬겼습니다. 시간이 흘러 제나라가 폭군 양공으로 인해 혼란에 빠지자관중은 규와 함께 노나라로 망명했고 포숙아는 소백과 함께 거나라로 망명했습니다.얼마 후 반란으로 왕은 피살되었고 반란 또한 평정이 되었습니다.그러자 이번에는 두 왕자가 서로 왕이 되기 위해 싸웠으.. 2019. 9. 18.
[고사성어] 대기만성(大器晩成)의미 뜻과 유래 대기만성(大器晩成)의미 뜻과 유래 大 : 큰 대器 : 그릇 기晩 : 늦을 만成 : 이룰 성 [대기만성 뜻]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큰 인물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오래 걸려서 완성되며크게 될 사람은 늦게라도 꼭 성공한다는 말입니다. [대기만성 유래]중국 위나라에 최염이라는 장군이 있었습니다.그는 재주가 뛰어나고 풍채가 좋아 조조의 신임을 받았습니다. 그에게는 최림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는데 최림은 아직 벼슬길에 나아가지도 못했습니다.그래서 주위 친척들이 모이면 항상 최염과 비교당하고 무시를 당했습니다. 그러나 최염은 최림의 재능을 알아보고 항상 좋은 말을 해주었습니다."큰 종이나 큰 솥은 쉽게 만들어지지 않듯이 큰 인물이 만들어지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야.너는 대기만성할 사람이니 끝까지 포기하지말.. 2019. 9. 11.
반응형